
React에서 개발을 진행하신 분들은 아마 한번쯤은 JS확장자와 JSX확장자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드실 수 있습니다. 대부분의 React강의를 보면 JSX확장자를 이용하여 개발을 진행하면 된다고 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. 하지만 간혹 JS확장자로 파일을 만들고 컴파일을 진행해도 에러 문구 없이 정상적으로 컴파일이 되는 경험을 하실 수 있습니다. 그렇다면 왜 jsx확장자를 사용하여 파일을 생성하라고 권장할까요 ? js와 jsx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? 이러한 궁금증은 Typescript를 적용하여 React프로젝트를 진행할 경우 더욱 커지게 됩니다. 대부분의 강의 및 자료에서 TS확장자와 TSX확장자를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하는데, '어떠한 기준'을 바탕으로 이를 구분하는지 모르고 사용하는 경..

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크기가 커질수록 관리해야할 파일은 늘어나고 이에 따라 각 파일들을 용도에 맞게 분류해야할 필요성을 느끼게 됩니다. 저도 최근에는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폴더들을 미리 생성하고 전체적인 프레임을 설계한 이후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은 리액트를 사용할 때 폴더의 구조를 어떻게 잡으면 좋을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. 먼저 CRA를 설치했을 때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폴더 및 파일들의 역할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. CRA의 초기 폴더구조 my-app ├── node_modules ├── public ├── src ├── .gitignore ├── package.json ├── package-lock.json └── README.md node_modules 현재 ..